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Maui
- 닷넷
- 애니메이션
- MSSQL
- 바인딩
- AnimationController
- 깃허브
- 자바스크립트
- 마우이
- listview
- Firebase
- React JS
- 파이어베이스
- GitHub
- MS-SQL
- 플러터
- 오류
- Binding
- HTML
- 함수
- Animation
- db
- page
- MVVM
- typescript
- .NET
- 리엑트
- spring boot
- Flutter
- JavaScript
- Today
- Total
목록TabBarView (3)
개발노트
NestedScrollView 개발하다보면 각각의 위젯마다 스크롤이 따로되는 위젯들을 마주하게됩니다. 이를 하나의 스크롤로 묶어서 제어하고 싶을 때 NestedScrollView를 사용하면됩니다. NestedScrollView는 Flutter에서 사용되는 스크롤 가능한 위젯의 중첩된 구조를 만들기 위한 유용한 위젯입니다. 이것은 여러 슬리버 (Sliver) 위젯과 스크롤 가능한 컨텐츠를 함께 사용하여, 복잡한 스크롤 레이아웃을 만들 수 있게 해줍니다. 주로 스크롤 가능한 헤더와 본문을 함께 사용하여 구현됩니다. NestedScrollView는 머티리얼 디자인 앱에서 많이 사용되며,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 요소로 구성됩니다: Header Slivers: 이 부분에는 앱의 헤더 또는 헤더와 관련된 위젯이 포..
TabBar, TabBarViewAppBar의 바로 밑에 Tab을 넣어 화면전환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. 이 경우 TabBar를 Appbar() Bottom:에 넣고, body:에 TabBarView를 넣어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. *DefaultTabController 위젯으로 꼭 감싸고 Tab item의 갯수를 정해줘야 TabBar 위젯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예시.import 'package:flutter/material.dart'; class TestScreen extends StatefulWidget { const TestScreen({super.key}); @override State createState() => TestScreenState(); } class _TestScreenStat..
화면을 넘기는 TabBarView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아래 3가지 위젯이 필요합니다. TabBarView: TabBarView는 여러 개의 탭에 대한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위젯입니다. 각 탭에 대한 컨텐츠를 생성하고, 사용자가 탭을 선택할 때 해당하는 내용이 표시됩니다. TabBarView는 DefaultTabController와 함께 사용되며, children 속성을 통해 각 탭에 대한 위젯들을 정의합니다. DefaultTabController: DefaultTabController는 TabBar와 TabBarView를 연결하고, 탭의 개수와 액션을 관리하는 위젯입니다. DefaultTabController는 length 속성을 통해 탭의 개수를 설정하고, child 속성에 TabBar와 TabBarV..